
전북특별자치도가 세출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2025년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을 총 10조 9,801억 원 규모로 편성해 15일 도의회에 제출했다.
도에 따르면 올해 추경 세입 가능 규모는 약 1,100억 원으로, 순세계잉여금 472억 원, 지방교부세 191억 원, 세외수입 468억 원 등이 포함된다. 반면 세출 요구는 법정·의무경비, 국고보조 매칭, 자체사업 등을 포함해 약 3,500억 원에 달해 세입을 크게 상회할 것으로 판단했다.
도는 지방채를 추가 발행하지 않고 순세계잉여금과 세외수입, 예비비 등 가용재원을 최대한 활용하고, 세출구조 조정을 병행해 재정의 건전성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예산을 편성했다.
이번 추경 예산안은 2025년 본예산 대비 2,522억 원(2.4%) 증가한 규모다. 전북도는 지역경기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위해 1581억 원을, 취약계층 지원 공공의료 및 시설물 정비, 소방력 확충 등 도민 안전 강화 분야에 251억을 반영했다. 또한 하계 올림픽 유치 대응을 위한 추경(94억 원)도 포함됐다.
도는 이차전지·바이오 등 첨단산업 육성과 기업유치, 전주 하계올림픽 유치 대응, 2026년 지방선거와 새 정부 출범에 따른 정책 수요 등으로 세출 수요가 중장기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. 아울러 경기 둔화와 부동산시장 침체로 국세 및 지방세 등 세입 회복은 지연될 것으로 전망했다.
이에 따라 도는 이번 추경에서 국고보조금 반환, 시군 조정교부금 등 법정·의무경비를 우선 반영하고, 민생과 직결되는 시급한 자체사업에 재원을 집중적으로 투입할 계획이다.
관계자는 “최근 어려운 세입 여건과 중장기 재정수요 증가에 대비해 엄격한 지출관리 및 중장기적 재정 전망을 통해 미래 재정 위험에 대비하는 등 전략적 재정 운용이 필요하다”고 강조했다.
한편, 이번 추경예산안은 4월 15일 도의회에 제출됐으며, 오는 23일 전북특별자치도의회 임시회에서 추경예산안 제안설명을 시작으로 상임위별 심사가 진행될 예정이다.